ICDH-IICAS 공동프로젝트 온라인 포럼 개최안내 | |||||
---|---|---|---|---|---|
작성자 | ICDH | 등록일 | 2023/09/14 | ||
첨부 |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와 우즈베키스탄의 중앙아시아 학술연구원 공동추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그디안 스크립트와 중앙아시아 온라인 포럼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본 포럼은 중앙아시아와 소그드어 연구에 있어 기념비적 업적을 세운 Vladimir A.Livshit(1923-2017)의 100주년을 기념하기도 합니다.
중앙아시아는 오랜기간 문명의 교차로였으며, 수세기에 걸쳐 다양한 문화, 언어, 전통이 얽혀있는 용광로였습니다.
유라시아 중심부에 자리잡은 이 지역은 전 세계 학자들을 지속적으로 사로잡는 독특한 예술, 문학, 철학을 탄생시킨 지역이기도 합니다.
해당 포럼에서는 B.C 7~8세기경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 등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한 무역을 수행했던 '소그드인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소그드인들은 고유언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아람문자, 시리아문자 및 마니교 문자 등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19세기말 중국의 둔황 등지에서 소그드 문자로 쓰인 문헌들이 다수 발견되면서 실크로드를 따라 교역에 종사했던 소그드인들의 역사가 새롭게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소그디아나(오늘날의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 기반을 두고 활동했으며 아시아 중앙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중국의 장안(오늘날의 시안)에서 둔황을 지나 동로마 비잔티움을 연결하고 남북으로는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관통하는 국제상권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비단과 함께 인류의 4대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화약, 나침반, 종이, 활판 인쇄술을 중국에서 서쪽으로 전달했습니다.
서양사회가 바닷길을 열어 많은 영토를 얻고, 지식을 대중화하여 유럽 중심의 세계사를 이루게 된 데에는 이러한 문명의 전파가 많은 역할을 했다고 학자들은 말하기도 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께서는 본 온라인 포럼에 함께하셔서 저명한 학자들과 소통하고 소그드인들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넓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일 시 : 2023.9.15(금) - 2023.10.6.(금),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장 소 : 온라인(Zoom, 각 링크 아래에 기재)
프로그램
순서 |
연사(Speaker) |
주 제(Topic) |
일 정(Date) |
1 |
Prof. Nicholas Sims-Williams |
"The Rediscovery of Sogidan" |
2023.9.15.(금) |
Link(Zoom) |
https://us06web.zoom.us/j/82867633003?pwd=dGpVaFhzVkt1UXo3V3AvckwwYnM2Zz09 |
||
2 |
Prof. Frantz Grenet |
"Dewashitich’s postal system" |
2023.9.22.(금) |
Link(Zoom) |
https://us06web.zoom.us/j/88298378975?pwd=bU1INlNwdnczRHpmc1A3NW5qUmx5UT09 |
||
3 |
Prof. Yutaka Yoshida |
"Three Sogdian Inscriptions from Monglia" |
2023.9.29.(금) |
Link(Zoom) |
https://us06web.zoom.us/j/88169436021?pwd=MEF6enY3R2VGUjJiMnJCY0trV2dHUT09 |
||
4 |
Dr. Pavel Lurje |
"New data on Turko-Sogdian monumental inscriptions from Kyrgyzstan" |
2023.10.6.(금) |
Link(Zoom) |
https://us06web.zoom.us/j/89707773068?pwd=NU4xQnJvMUpRUHJucFpuWXB6OHhUdz09 |
다음글 | 게시물이 없습니다. |
---|---|
이전글 | ICDH 온라인 서포터즈 모집 |